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청년내일저축계좌 만기 해지 납입일 당일 가능할까

by Fever 2025. 10. 6.
반응형

만기일 전 마지막 납입하고 바로 해지 신청해도 되는지 궁금하시죠.

 

22년도 가입자 분들 만기가 다가오면서 해지 시기에 대한 질문이 많습니다.

 

1. 납입 마감일 확인

 

본인적립금은 매월 1일부터 20일 입금 마감일 이전 자동이체가 원칙입니다.

 

20일 이후에는 당월 본인적립금 입금이 불가하며 정부지원도 받을 수 없습니다.

 

✅ 매월 1일~20일까지 납입 가능

 

✅ 20일 이후 납입은 다음 달로 처리

 

✅ 10일 납입은 전혀 문제없음

 

따라서 10월 10일에 마지막 납입을 하는 것은 정상적으로 인정됩니다.

 

2. 적립 인정 기간

 

적립월 1개월 인정기준은 전월 23일부터 현월 22일까지입니다.

 

22일 이후 입금 시 익월 저축으로 처리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기준 인정 기간
당월 적립 인정 전월 23일 ~ 현월 22일
익월 적립 처리 22일 이후 입금분

 

만기일이 22일이므로 10일 납입은 해당 월에 정상 인정됩니다.

 

3. 온라인 해지 신청 가능

 

2025년부터는 3년 만기 후 만기지급해지 신청을 온라인으로 손쉽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기존과 달리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를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복지로포털에서 신청 가능합니다.

 

💻 복지로포털에서 본인 인증 후 신청

 

💻 2025년 하반기부터 개시 예정

 

💻 행정복지센터 방문 불필요

 

복지로포털 바로가기

 

온라인 신청 기능으로 계좌 관리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4. 납입 당일 해지 가능 여부

 

만기일이 22일인데 10일에 마지막 납입 후 바로 해지 신청하는 것은 이론적으로 가능합니다.

 

다만 정확한 절차는 사전에 확인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납입 완료 후 해지 신청 가능

 

🔔 만기일 전이라도 신청 가능

 

🔔 사전 문의로 정확한 절차 확인 필요

 

자산형성지원 콜센터나 복지로포털 챗봇으로 미리 확인하세요.

 

5. 만기 해지 조건 확인

 

3년간 성실하게 저축했더라도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면 정부 지원금을 받지 못할 수 있습니다.

 

필수 조건 세부 내용
매월 저축 매월 10만원 이상
근로활동 3년간 근로활동 지속
교육이수 자립역량 교육 이수
계획서 제출 자금사용계획서 제출

 

모든 조건을 충족해야 근로소득장려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6. 만기 지원금 예상액

 

3년 후 만기 시에는 본인 저축금과 정부 지원금, 이자를 수령하게 됩니다.

 

💰 본인 저축금 360만원 (월 10만원 기준)

 

💰 정부 지원금 360만원 또는 1080만원

 

💰 적금 이자 최대 연 5퍼센트 금리

 

기준 중위소득 50퍼센트 초과는 총 720만원, 50퍼센트 이하는 총 1440만원을 수령합니다.

 

7. 해지 신청 서류

 

만기 해지 시 필요한 서류를 미리 준비하세요.

 

📄 자산형성지원사업 해지신청서

 

📄 자금사용계획서

 

📄 적립금 지급 요구서

 

📄 신분증

 

해지 서식 다운로드

 

자산형성포털 자료실에서 양식을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8. 금융교육 서비스

 

만기 해지 예정자를 위한 맞춤형 금융교육 서비스도 제공됩니다.

 

만기 지원금을 안정적으로 운용하고 관리하여 탄탄한 자산기반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 기초 자산교육

 

📚 1대1 금융상담 서비스

 

📚 전국 광역자활센터에서 신청

 

금융교육을 통해 만기 지원금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9. 문의처 안내

 

문의처 연락처 비고
자산형성지원 콜센터 1522-3690 전화 상담
보건복지상담센터 129 국번없이
복지로포털 챗봇 hope.welfareinfo.or.kr 온라인 상담
행정복지센터 주소지 주민센터 방문 상담

 

궁금한 사항은 언제든지 문의하여 정확한 정보를 확인하세요.

 

10. 주의사항

 

만기 해지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사항들입니다.

 

⚠️ 36개월 저축 완료 확인

 

⚠️ 자립역량 교육 이수 여부

 

⚠️ 근로활동 유지 기준 충족

 

⚠️ 자금사용계획서 작성 준비

 

조건 미충족 시 정부 지원금을 받지 못하고 본인 적립금만 돌려받게 됩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만기 해지는 10일 납입 후 바로 신청 가능하지만, 정확한 절차는 자산형성지원 콜센터(1522-3690)에 사전 확인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2025년부터 온라인 해지 신청이 가능해져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었으니 복지로포털을 활용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