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18K 금시세를 정확히 알고 계신가요? 1돈 기준으로 살 때와 팔 때 가격이 다르며, 매장마다 세공비 차이도 큽니다.
2025년 11월 12일 기준, 18K 금시세는 1돈당 약 52만 6천원에서 54만 6천원 수준으로 형성되어 있습니다. 금 투자나 금 제품 구매를 고민 중이라면 지금이 적절한 시점인지 꼭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1. 오늘 18K 금시세




2025년 11월 12일 현재 18K 금 1돈(3.75g) 기준 판매 시세는 약 52만 6천원에서 54만 6천원 사이입니다. 이는 전날 대비 소폭 상승한 수치로, 국제 금값 변동과 환율에 영향을 받은 결과입니다.
18K는 순금 함량이 75%인 제품으로, 나머지 25%는 구리나 은 같은 다른 금속이 섞여 있습니다. 순금보다 단단해서 주얼리 제작에 많이 사용됩니다.
매장마다 시세 차이가 있으니 여러 곳을 비교해보시는 것이 현명합니다. 보다 정확한 실시간 시세는 아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 살 때와 팔 때 가격
금을 사고팔 때 가격이 다르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매입가와 판매가의 차이는 보통 5만원에서 10만원 정도 발생합니다.
| 구분 | 18K (1돈) | 24K (1돈) |
|---|---|---|
| 살 때 | 52.6만~54.6만원 | 83만~86만원 |
| 팔 때 | 제품 시세 적용 | 71만~74만원 |
✅ 살 때: 매장에서 제시하는 판매가 기준
✅ 팔 때: 세공비와 손실률을 제외한 순금 무게 기준
✅ 18K 제품은 디자인과 브랜드에 따라 가격 차이 큼
중고 금 제품을 판매할 때는 세공비를 제외한 순금 무게만 인정받기 때문에 구매 가격보다 낮은 금액을 받게 됩니다.
3. 1돈의 무게
금 거래에서 사용하는 단위인 돈은 3.75g에 해당합니다. 한 돈, 두 돈, 세 돈 이렇게 계산하며 돈수가 늘어날수록 무게와 가격이 비례해서 증가합니다.
✅ 1돈 = 3.75g
✅ 2돈 = 7.5g
✅ 3돈 = 11.25g
반지나 목걸이 같은 금 제품을 구매할 때는 돈수를 확인하면 대략적인 가격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18K 반지 2돈이라면 현재 시세로 약 105만원에서 109만원 수준입니다.
4. 18K와 24K 차이
순금인 24K와 18K는 순도와 가격, 그리고 사용 목적에서 명확한 차이가 있습니다.
24K는 순금 99.9%로 부드럽고 변색이 없지만 쉽게 흠집이 나고 변형됩니다. 주로 금괴나 금화 같은 투자용으로 사용됩니다. 1돈 기준 가격은 83만원에서 86만원 선입니다.
18K는 순금 75%에 다른 금속 25%가 섞여 있어 단단하고 내구성이 좋습니다. 반지, 목걸이, 귀걸이 같은 장신구 제작에 적합하며 가격은 24K보다 저렴합니다.
어떤 용도로 구매하시나요? 투자 목적이라면 24K, 착용할 장신구라면 18K를 선택하시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5. 시세 변동 요인
금 시세는 매일, 심지어 시간마다 변동됩니다. 국제 금값과 원달러 환율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칩니다.
국제 금값이 오르면 국내 금 시세도 함께 상승하며, 달러 가치가 올라가도 원화 기준 금값이 높아집니다. 최근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안전 자산인 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 국제 금값 상승 시: 국내 시세도 상승
✅ 원달러 환율 상승 시: 원화 기준 금값 상승
✅ 경제 불안 시: 금 수요 증가로 가격 상승
금 구매를 계획 중이라면 환율과 국제 금값 추이를 함께 살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6. 매장별 가격 비교
같은 날 같은 시간에도 매장마다 금 시세가 다릅니다. 세공비와 마진율이 다르기 때문에 최소 3곳 이상 비교해보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한국금거래소, 숭금나라, 골드골드 같은 대형 금 거래소는 시세를 투명하게 공개하며 세공비가 상대적으로 저렴합니다. 동네 금은방은 세공비가 높지만 디자인이 다양하고 A/S가 편리합니다.
| 매장 유형 | 장점 | 단점 |
|---|---|---|
| 대형 금거래소 | 시세 투명, 세공비 저렴 | 디자인 제한적 |
| 동네 금은방 | 디자인 다양, A/S 편리 | 세공비 높음 |
온라인으로 시세를 먼저 확인하고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하면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7. 금 제품 구매 시 주의사항
금 제품을 구매할 때는 순도 각인, 무게 측정, 영수증 보관 이 세 가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18K 제품은 'K18' 또는 '750' 각인이 있어야 정품입니다. 구매 전 저울로 무게를 직접 확인하고, 세공비와 부가세가 포함된 총액이 명시된 영수증을 받아야 나중에 판매할 때 분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 순도 각인 확인: K18 또는 750 표시
✅ 무게 측정: 돈수와 그램 수 일치 확인
✅ 영수증 보관: 세공비, 부가세 명시된 것
✅ 보증서 발급: 브랜드 제품일 경우 필수
중고 금 제품을 구매할 때는 각인이 마모되었거나 위조되었을 수 있으니 더욱 신중하게 살펴봐야 합니다.
8. 금 판매 시 체크사항




보유 중인 금 제품을 판매하려고 하시나요? 매입 시세와 세공비 차감 금액을 미리 계산해보셔야 손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18K 제품은 순금 함량 75%만 인정받으므로 2돈짜리 반지라도 실제로는 1.5돈 가격만 받게 됩니다. 여기에 세공비까지 제외되면 구매 가격의 60~70% 수준만 돌려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 순금 무게 계산: 총 무게 × 0.75
✅ 세공비 차감: 보통 10~30% 제외
✅ 손상 정도: 흠집이나 변형 시 추가 감액
✅ 여러 곳 비교: 매입가 차이 확인 필수
급하게 현금이 필요한 상황이 아니라면 금값이 오를 때까지 기다리는 것도 방법입니다. 최근 몇 년간 금값은 꾸준히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9. 14K와 비교
18K 외에도 14K 제품이 많이 거래됩니다. 14K는 순금 함량이 58.5%로 18K보다 낮아 가격도 저렴합니다.
14K 1돈 기준 가격은 41만원에서 42만원 수준으로, 18K보다 약 11만원 정도 저렴합니다. 색상은 18K보다 약간 연하고 단단해서 실용적인 장신구에 많이 사용됩니다.
예산이 제한적이거나 매일 착용할 제품을 찾는다면 14K가 더 실용적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재판매 가치나 투자 목적이라면 18K나 24K를 선택하시는 것이 유리합니다.
오늘 18K 금시세를 확인하셨다면 구매나 판매 결정에 도움이 되셨을 것입니다. 금 거래는 타이밍이 중요하니 시세를 자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