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자동차 경고등 종류 확인하기

by Fever 2025. 11. 13.
반응형

운전 중 계기판에 갑자기 켜진 낯선 표시, 당황스러우셨죠?

 

자동차 경고등은 차량이 보내는 중요한 신호입니다. 색상만 알아도 위험도를 바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1. 경고등 색상별 의미

 

자동차 경고등은 색상으로 위험 정도를 구분합니다. 빨간색 경고등이 켜졌다면 즉시 운행을 멈추고 점검받아야 합니다.

 

✅ 빨간색: 위험 신호로 즉시 운행 중지 필요

 

✅ 노란색: 주의 신호로 빠른 점검 권장

 

✅ 초록색/파란색: 정상 작동 상태 표시

 

빨간색은 차량 안전에 직결된 심각한 문제를 의미합니다. 엔진 과열이나 브레이크 오일 부족 등 방치하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노란색은 당장 주행은 가능하지만 안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상태입니다. 가능한 빨리 정비소 방문이 필요합니다.

 

한국교통안전공단 바로가기

 

2. 즉시 점검 필요한 빨간색

 

빨간색 경고등이 점등되면 차량을 안전한 곳에 세우고 전문가에게 연락해야 합니다. 계속 주행하면 엔진 손상이나 화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엔진오일 압력 경고등: 오일 부족 시 엔진 손상 위험

 

✅ 냉각수 온도 경고등: 엔진 과열로 화재 가능성

 

✅ 브레이크 경고등: 브레이크액 부족 또는 시스템 이상

 

✅ 배터리 충전 경고등: 배터리 방전 또는 충전 시스템 고장

 

엔진오일 압력 경고등은 요술램프 모양으로 표시됩니다. 이 경고등이 켜진 상태로 주행하면 엔진 내부 부품이 마모되어 수백만원의 수리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냉각수 온도 경고등은 물결무늬가 있는 온도계 모양입니다. 냉각수가 부족하거나 엔진이 과열되면 점등되며, 계속 운행 시 엔진 화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경고등 종류 위험도 조치사항
엔진오일 압력 높음 즉시 운행 중지 및 견인
냉각수 온도 높음 시동 끄고 냉각 후 점검
브레이크 시스템 높음 브레이크액 확인 후 정비소 방문
에어백 높음 신속하게 정비소 점검

 

3. 주의가 필요한 노란색

 

노란색 경고등은 당장 운행은 가능하지만 빠른 시일 내 점검이 필요한 상태입니다. 무시하고 방치하면 더 큰 문제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 엔진 체크 경고등: 배기가스나 연료 시스템 이상

 

✅ TPMS 경고등: 타이어 공기압 부족

 

✅ ABS 경고등: 급제동 시 바퀴 잠김 방지 시스템 이상

 

✅ ESC 경고등: 차체 자세 제어 장치 고장

 

엔진 체크 경고등은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경고등입니다. 엔진 모양으로 표시되며 전자 제어 장치나 배기가스 관련 부품에 문제가 있을 때 점등됩니다.

 

주유 직후 경고등이 켜졌다면 주유구 뚜껑을 제대로 닫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유증기가 새어나와 센서가 반응한 것이므로 주유캡을 다시 확인해보세요.

 

4. 타이어 공기압 관리

 

TPMS 경고등은 느낌표가 있는 말굽 모양으로 표시됩니다. 타이어 공기압이 적정 수준보다 20퍼센트 이상 낮아지면 점등됩니다.

 

✅ 타이어 공기압 부족 시 연비 저하 발생

 

✅ 타이어 마모 가속화로 교체 주기 단축

 

✅ 고속 주행 시 타이어 파손 위험 증가

 

겨울철에는 기온 변화로 타이어 공기압이 자연스럽게 낮아집니다. 추운 날씨에 TPMS 경고등이 켜졌다면 가까운 주유소에서 공기압을 보충하세요.

 

보다 자세한 타이어 관리 방법은 아래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5. 브레이크 시스템 점검

 

브레이크 경고등은 원 안에 느낌표가 있는 모양입니다.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하지 않고 주행할 때도 켜지지만, 브레이크액 부족이나 시스템 이상으로도 점등됩니다.

 

✅ 주차 브레이크 해제 여부 먼저 확인

 

✅ 브레이크액 양 점검 및 보충

 

✅ 브레이크 패드 마모 상태 확인

 

시동을 켤 때 3초간 점등 후 자동으로 꺼지는 것이 정상입니다. 하지만 주차 브레이크를 풀어도 경고등이 계속 켜져 있다면 전문가 점검이 필요합니다.

 

브레이크는 안전과 직결된 장치이므로 경고등이 뜨면 즉시 점검받아야 합니다.

 

6. ABS와 ESC 시스템

 

ABS 경고등은 급제동 시 바퀴가 잠기는 현상을 방지하는 시스템에 문제가 있을 때 점등됩니다. 빙판길이나 눈길에서 특히 중요한 안전 장치입니다.

 

✅ ABS: 급브레이크 시 바퀴 잠김 방지

 

✅ ESC: 차체 자세 제어로 미끄럼 방지

 

✅ 겨울철 빙판길 주행 시 필수 시스템

 

ESC 경고등은 차량 자세 제어 장치 이상을 알립니다. 차종에 따라 VDC나 ESP로 표시되기도 하며 모두 같은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주행 중 차가 미끄러질 때 브레이크 압력과 엔진 출력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안정성을 유지합니다. 이 경고등이 켜지면 겨울철 운전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경고등 색상 의미 주행 가능 여부
빨간색 위험 신호 즉시 중지
노란색 주의 신호 짧은 거리 가능
초록색/파란색 정상 작동 안전

 

7. 배터리 충전 시스템

 

배터리 경고등은 배터리 모양으로 표시됩니다. 충전 시스템에 이상이 있거나 배터리가 방전되었을 때 점등됩니다.

 

✅ 한여름과 한겨울에 자주 발생

 

✅ 전기 장치 사용 최소화 필요

 

✅ 정비소에서 배터리 교체 또는 충전

 

시동 후 3초간 점등 후 꺼지는 것이 정상입니다. 하지만 계속 켜져 있다면 오디오나 에어컨 같은 전기 장치 사용을 줄이고 빠르게 정비소로 이동하세요.

 

드물게 팬벨트가 끊어져도 배터리 경고등이 점등될 수 있습니다.

 

8. 스스로 확인 가능한 항목

 

일부 경고등은 운전자가 직접 확인하고 해결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의 도움 없이도 간단히 조치 가능한 항목들입니다.

 

✅ 도어 열림 경고등: 문이나 트렁크 닫힘 확인

 

✅ 안전벨트 경고등: 안전벨트 착용 확인

 

✅ 워셔액 부족 경고등: 워셔액 보충

 

✅ 연료 부족 경고등: 주유소에서 연료 충전

 

연료 부족 경고등이 켜져도 평균 50킬로미터에서 60킬로미터 추가 주행이 가능합니다. 당황하지 말고 가까운 주유소로 이동하세요.

 

차량 매뉴얼에는 모든 경고등의 의미와 대처 방법이 상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제조사마다 경고등 모양이 다를 수 있으니 매뉴얼을 참고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경고등은 차량이 보내는 중요한 신호입니다. 무시하지 말고 색상에 따라 적절히 대처하면 안전한 운전이 가능합니다.

 

반응형